IT 클라우드 인사이트100
-
<인사이트> CES 2025에서 선보인 NVIDIA의 미래 기술
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 입니다. 지난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ConsumerElectronics Show) 2025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Connect. Solve. Discover. DIVE IN"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이번 행사는 AI 기술을 중심으로 한 혁신과 연결에 초점을 맞추며, 우리 일상을 변화시킬 미래 기술의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특히 NVIDIA는 이번 전시회의 가장 주목받는 키워드로 떠올랐습니다. NVIDIA의 CEO 젠슨 황은 8년 만의 기조연설을 통해 AI 기술의 미래와 혁신적인 신제품을 공개하며 전 세계의 이목을 끌었습니다. 오늘의 카클로그는 그가 발표한 주요 기술과 신제품을 통해 앞으로의 AI와 컴퓨터 기술의 진화 방향을 살펴보도록..
IT 클라우드 인사이트/IT 인사이트 2025. 1. 16. -
<인사이트> 제조업 클라우드의 사이버 위협과 카카오클라우드의 보안 서비스
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기업의 IT 인프라는 근본적인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초기의 단일 클라우드 환경에서 멀티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네트워크 구조의 복잡성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복잡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와 보안 유지는 기업의 핵심 과제로 부상했습니 최근 Splunk의 보고서(링크)에 따르면, 2023년 첫 3분기 동안 랜섬웨어 공격이 전년 대비 83% 증가했으며, 제조업계는 2023년 랜섬웨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산업으로 불명예스러운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런 배경에서 카카오클라우드는 진화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종합적인 보안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S..
IT 클라우드 인사이트/IT 인사이트 2025. 1. 15. -
<인사이트> NIA가 전망한 2025년 12대 디지털 트렌드
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입니다. 한국지능정보원(NIA)은 "2025년 12대 디지털 트렌드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며, AI를 중심으로 전개될 디지털 트렌드에 대한 심층적인 인사이트를 제시했습니다. AI 기술의 발전은 우리 생활과 산업 전반에 걸쳐 큰 변화의 물결을 예고하고 있는데요. AI 에이전트의 진화부터 AI 주도형 자율주행, 디지털 창작의 르네상스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친 디지털 기술 트렌드를 다루고 있는 보고서에서 소개하는 12개 트렌드 중 그 중에서도 주목해야할 7개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디지털 전환 전략 수립을 담당하는 기업관계자들에게 유익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주목해야 할 트렌드-1] 어시스턴트에서 '에이전트'로 변신한 AI AI는 단순히 명령을 수행하는 수준을 넘어, 상황을..
IT 클라우드 인사이트/IT 인사이트 2025. 1. 10. -
<지식 사전> GitOps란? Git을 활용한 선언적 인프라 관리 방법
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입니다. 최근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GitOps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DevOps의 진화된 형태인 GitOps는 Git을 단일 진실 공급원(Single Source of Truth)으로 활용하여 시스템의 상태를 선언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오늘은 GitOps의 핵심 원칙부터 구현 방식까지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GitOps란 무엇인가?GitOps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배포와 운영을 자동화하는 방법론입니다. Git 저장소에 시스템의 원하는 상태를 코드로 정의해두고, 자동화된 프로세스가 실제 시스템을 이 정의된 상태와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마치 항상 정해진 목적지를 향해 자동으로 방향을 조정하는..
IT 클라우드 인사이트/IT 지식사전 2025. 1. 2. -
<지식 사전> 사이드카 패턴이란(Sidecar Pattern)? - 개념부터 도입 가이드
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입니다.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s) 아키텍처를 도입하면서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유연하고 확장성 있게 운영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서비스가 점차 분산되고 복잡해지면서 로그 수집, 모니터링, 보안, 네트워킹과 같은 공통 기능을 어디에 넣어야 할지 고민이 깊어지곤 합니다. 이때 등장하는 해결책 중 하나가 사이드카 패턴(Sidecar Pattern)입니다. 사이드카 패턴은 메인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와 함께 별도의 독립된 컨테이너를 배치하여 공통 기능을 담당하게 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깔끔하게 유지하고 시스템 기능을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돕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1. 왜 사이드카 패턴이 중요한가?1)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의 유연한 아키텍처 설..
IT 클라우드 인사이트/IT 지식사전 2025. 1. 2. -
<지식 사전> 폐쇄형 VS 개방형 LLM 비교 - 기업 도입 시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할까?
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입니다. 인공지능(AI)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LLM(Large Language Model)은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LLM은 방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통해 학습된 자연어 처리 모델로 자동 번역, 텍스트 생성, 질의응답 시스템 등 다양한 업무에 활용됩니다. 이러한 LLM은 크게 ‘폐쇄형(Closed)’과 ‘개방형(Open)’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폐쇄형과 개방형이 어떻게 구분되는지 알아보고, 기업 도입 시 두 모델의 특징과 기술적 요구사항 등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기업 도입 시 폐쇄형 LLM과 개방형 LLM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1) 서비스 전략 및 라이선스 정책 결정기업이 LLM을 활용하려 할 때, 폐쇄..
IT 클라우드 인사이트/IT 지식사전 2025. 1. 2.